본문 바로가기
필수경제상식

은행의 종류 1금융 / 2금융/ 3금융

by 돈다발여사 2022. 2. 14.

2009년 토마토저축은행은 세번에 걸쳐 수익률 7.9~8.5%의 후순위채권 900억 원어치를 소비자들에게 팔았습니다. 그런데 이후 두 번 영업정지를 당하고 2012년 8월 파산 선고를 받으면서 소비자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점은 피해자의 53%가 60대 이상으로 조사된 것입니다. 

금융권은 일반적으로 제1/2/3금융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언론에서 편의상 구분하여 부르던 것이 정착된 것으로, 정식 명칭은 아닙니다. 

 

1. 제1금융권

일반은행 / 지방은행 / 특수은행

제1금융권은 우리 생활에서 쉽게 보이는 은행입니다. 예금은행을 지칭하는 용어로 특수은행, 일반은행,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 인터넷전문은행이 있습니다.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을 비롯하여 지방은행, 외국은행, 기업은행, 농협 등이 포함됩니다. 규모가 크고 안정성이 높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예금, 대출, 증권계좌 개설, 보험가입, 펀드가입 등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대출금리가 낮고 지점이 많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안전성이 보장되는 만큼 예금금리가 낮고 대출에 대한 심사가 까다롭게 진행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모바일로 손쉽게 이용이 가능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역시 제1금융권에 속합니다.

 

2. 제2금융권

증권회사, 보험회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투자신탁회사, 종합금융회사, 신용협동조합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을 제외한 금융기관을 가리킵니다.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사, 여신금융회사(카드회사, 캐피탈 등), 상호 저축은행 등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의 은행들에 비해 대출 절차가 간편하지만 대출이자가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을 합쳐서 제도권 금융기관이라 합니다.

 

3. 제3금융권

대부업체, 사채업체

제3금융권은 제도권 밖의 금융기관입니다. 우리가 케이블 티비에서 자주보는 XX머니, XXX캐쉬 등입니다. 대부,사체업체도 여기에 속합니다. 사금융권 또는 소비자금융이라고도 합니다.

 

저축은행은 처음부터 저축은행으로 불린 것은 아니었습니다. 1973년 설립된 지역 금융기관으로 본래의 명칭은 상호신용금고였습니다. 2001년 3월 상호신용금고법이 상호저축은행법으로 개정되면서 2002년 상호저축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되 있습니다. 명칭이 변경된 이후 2011년 2월 부산저축은행 등의 여러 저축은행이 집단으로 영업이 정지되어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습니다. 

수익을 내는 방법에 따라서 은행을 나누기도 합니다. 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를 이용해서 수익을 내는 은행을 상업은행이라고 합니다. 국민, 신한, 하나은행 등이 상업은행에 해당됩니다. 기업의 인수, 합병이나 자문 업무 등 다양한 업무를 하는 은행을 투자은행이라 합니다. 대표적인 투자은행에는 모건스탠리, 메릴린치, 골드만삭스, 도이체방크, 노무라,다이와증권 등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