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레토의 법칙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발표한 소득분포의 불평등도에 관한 법칙입니다. "전체 결과의 80%는 전체 원인 중 20%에서 비롯된다."는 법칙입니다.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것, 국민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는 것, 직장에서 20%의 근로자가 80%의 일을 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2080 법칙은 기업의 2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80%의 일을 하고, 전체 판매 제품들 중 상위 20% 제품에서 80%의 수익을 올리며, 상위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상의 80%를 차지하는 현상에 적용됩니다. 이러한 20 : 80의 법칙이 마케팅 분야에 접목된 대표적인 사례가 VIP마케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프리미엄 마케팅을 통해 20%의 소비자를 상대로 80%의 이익을 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통해 기업들이 소수의 소비자들과도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기업들은 그동안 잊고 지내던 소수의 소비자들을 서서히 생각하게 되었고, 기존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데다 대중 또는 다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자 상황에서 일본인 스기야 요시히로에 의해 '롱테일의법칙(The theory of the Long Tail)'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그동안 의도적으로 버림받았던 하위 80% 소비자들의 가치가 새롭게 등장한 것입니다.
- 통화한 사람 중 20%와의 통화시간이 총 통화시간의 80%를 차지한다.
- 즐겨 입는 옷의 80%는 옷장에 걸린 옷의 20%에 불과하다.
- 전체 주가상승률의 80%는 상승기간의 20%의 기간에서 발생한다.
- 20%의 운전자가 전체 교통위반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 20%의 범죄자가 80%의 범죄를 저지른다.
- 성과의 80%는 근무시간 중 집중력을 발휘한 20%의 시간에 이뤄진다.
- 두뇌의 20%가 문제의 80%를 푼다. 우수한 20%의 인재가 80%의 문제를 해결한다. 혹은 뇌의 20프로만 사용하여 문제 해결에 필요한 80%를 해결한다
- 운동선수 중 20%가 전체 상금 80%를 싹쓸이한다.
- 인터넷 유저의 20%가 80%의 양질의 정보를 생산한다.
2. 베블런 효과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때문에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입니다.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有閑階級論)》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베블런은 이 책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습니다.
베블런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행태로,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꼭 필요해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지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과시욕이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고가의 물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경우, 값이 오르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고, 값이 떨어지면 누구나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구매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무조건 남의 소비 성향을 좇아 한다는 뜻에서 소비편승효과라고도 합니다.이는 주로 충분한 부를 가진 상류층 소비자로부터 나타난다. 그들은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자신의 계층을 과시하기 위해서 값비싼 물건을 소비합니다. 주로 상류층 소비자의 소비 행태를 말한다는 점에서 상류층이 되기를 선망하는 사람들의 소비 행태를 말하는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와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꺼리는 소비현상으로, 남들이 구입하기 어려운 값비싼 상품을 보면 오히려 사고 싶어하는 속물근성에서 유래한 속물효과와 비슷합니다. 한국에서는 대학생들 사이에 명품 소비 열풍이 일면서 일명 명품족으로 불리는 럭셔리제너레이션도 등장하였는데, 2000년대 이후에는 극소수의 상류층 고객만을 상대로 벌이는 마케팅전략인 VVIP마케팅도 등장하였습니다. 고가 제품으로 최상위 소비자를 공략하는 이유에는 바로 파레토의 법칙 때문입니다. 20%의 VIP 고객이 80%의 매출을 올려주고, 전체 수익 중 80%는 제품 20%에서 거두어 들인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요즘 샤넬가방을 구매하기 위한 오픈런, 코로나시대 명품브랜드의 매출 향상 등이 이런 베블런효과를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출처: 시사상식사전, 위키백과, 두산백과
댓글